자율주행이란?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 운전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주행
- 스스로 사람의 인지, 판단, 제어 기능을 대체하여 운전
자율주행을 위해 필요한 기술
인지기술
- 차량 검출 기술
- 보행자 검출 기술
고정밀기술
- 지도 생성 기술
측위기술
- 현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지물과 내 주변의 차량, 보행자 정보를 결합
V2X 통신기술
자율주행의 필요성
Safety: 안전성
- 사람이 인지하기 어렵거나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동차의 센서와 정보를 이용해 사고상황을 피할 수 있음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경제적, 사회적 이익
- 교통사고로 인해
Efficiency and Convenience: 교통혼잡 감소 및 새로운 가치 공간
- 교통혼잡으 감소시키고 교통상황을 예측하여 도로에서 소비되는 시간 절감
- 자율주행 차량 내부 공간의 변화로 새로운 가치 공간 재해석
Mobility: 이동성
- 비운전자의 줄어든 생활권을 확장시킴
우리나라 부분자율주행시스템(Level 3) 안전 기준
1. 운전 가능 여부 확인
- 운전자가 착석했는지 확인 후 작동
- 자율주행 긴급상황 발생 시 운전자가 다시 제어권을 받아 운전을 해야 하기 때문
2. 자율주행 시 안전 확부
- 차로 유지 기능 사용 시 최대 속도 또는 속도에 따른 앞 차량과의 최소 안전거리 제시
- 과속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고 앞차와 안전거리 유지
3. 상황별 운전전환 요구
- 자율주행 스스로 제어하기 어려운 상황 발생
- 운전전환 경고: 15초 전 미리 알려 주거나, 기다릴 수 없는 경우 즉시 경고 발생
4. 긴급한 상황의 경우
- 운전전환 요구에 대응할 시간이 없는 경우 시스템이 비상 운행 기준에 따라 대응
- 운전자가 대응할 수 없을 때 자율주행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가서 주차
5. 운전자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반응이 없는 경우
- 운전자가 긴급한 상황이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안전기준
- 운전전환 요구에도 10초 이내 운전자의 대응이 없을 경우
- 안전을 위해 위험 최소화 운행 시행
6. 시스템 고장 대비
- 자율주행은 소프트웨어가 많은 비중 차지
- 시스템 고장 시 파트별로 대처할 수 있는 플랜 B 계획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한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센서
카메라: 신호등 감지, 전방 보행자 감지, 후측방 감지, 차로 이탈 방지
레이더: 적응형 주행 제어, 자동 긴급 제동, 후방 충돌 경고
라이더: 전방 장애물 감지
초음파 센서: 주차 보조, 후측방 감지
적외선 이미지 센서: 야간 주행(나이트 비전)
자율주행 관련 주요 정부 정책
- 2018년 2월 미래차 산업 발전 전략
>> 자율주행 상용활르 위한 스마트 교통 시스템 구축 방안
- 2030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목표
- 2022년 친환경 차와 자율주행 차에 대한 큰 틀 제시
- 2022년까지 전기차 충전소 1만개 구축
- 고속도로 인프라 구축 추진
- 고속도로 정밀 지도 구축
'교육 > 수학으로 푸는 자율주행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인공지능의 개념 (0) | 2022.04.10 |
---|---|
1-1 인공지능과 수학과의 관계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