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7번: 자리배정
첫 줄에는 공연장의 격자 크기를 나타내는 정수 C와 R이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차례대로 주어진다. 두 값의 범위는 5 ≤ C, R ≤ 1,000이다. 그 다음 줄에는 어떤 관객의 대기번호 K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어떤 공연장에는 가로로 C개, 세로로 R개의 좌석이 C×R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좌석의 번호는 해당 격자의 좌표 (x,y)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보자. 아래 그림은 가로 7개, 세로 6개 좌석으로 구성된 7×6격자형 좌석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각 단위 사각형은 개별 좌석을 나타내며, 그 안에 표시된 값 (x,y)는 해당 좌석의 번호를 나타낸다. 가장 왼쪽 아래의 좌석번호는 (1,1)이며, 가장 오른쪽 위 좌석의 번호는 (7,6)이다.
(1, 6) | (7, 6) | |||||
(4, 4) | (7, 4) | |||||
(1, 3) | (6, 3) | |||||
(1, 2) | ||||||
(1, 1) | (2, 1) | (3, 1) | (7, 1) |
이 공연장에 입장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이 대기줄에 서있다.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은 제일 앞에서부터 1, 2, 3, 4, . 순으로 대기번호표를 받았다. 우리는 대기번호를 가진 사람들에 대하여 (1,1)위치 좌석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비어있는 좌석에 관객을 순서대로 배정한다. 이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사람, 즉 대기번호 1인 사람은 자리 (1,1)에 배정한다. 그 다음에는 위쪽 방향의 좌석으로 올라가면서 다음 사람들을 배정한다. 만일 더 이상 위쪽 방향으로 빈 좌석이 없으면 오른쪽으로 가면서 배정한다. 오른쪽에 더 이상 빈자리가 없으면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아래쪽에 더 이상 자리가 없으면 왼쪽으로 가면서 남은 빈 좌석을 배정한다. 이 후 왼쪽으로 더 이상의 빈 좌석이 없으면 다시 위쪽으로 배정하고, 이 과정을 모든 좌석이 배정될 때까지 반복한다.
아래 그림은 7×6공연장에서 대기번호 1번부터 42번까지의 관객이 좌석에 배정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6 | 7 | 8 | 9 | 10 | 11 | 12 |
5 | 26 | 27 | 28 | 29 | 30 | 13 |
4 | 25 | 38 | 39 | 40 | 31 | 14 |
3 | 24 | 37 | 42 | 41 | 32 | 15 |
2 | 23 | 36 | 35 | 34 | 33 | 16 |
1 | 22 | 21 | 20 | 19 | 18 | 17 |
여러분은 공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자연수 C와 R이 주어져 있을 때, 대기 순서가 K인 관객에게 배정될 좌석 번호 (x,y)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입력
첫 줄에는 공연장의 격자 크기를 나타내는 정수 C와 R이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차례대로 주어진다. 두 값의 범위는 5 ≤ C, R ≤ 1,000이다. 그 다음 줄에는 어떤 관객의 대기번호 K가 주어진다. 단 1 ≤ K ≤ 100,000,000이다.
출력
입력으로 제시된 대기번호 K인 관객에게 배정될 좌석번호 (x,y)를 구해서 두 값, x와 y를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해야 한다. 만일 모든 좌석이 배정되어 해당 대기번호의 관객에게 좌석을 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0(숫자 영)을 출력해야 한다.
풀이
/*
* 입력
* 1. 공연장의 크기 C R
* 2. 관객의 대기번호 K
* 출력
* 1. 관객의 좌석 번호 x, y
* 2. 배정할 수 없으면 0
* 조건
* 1. 왼쪽 아래부터 1,1
* 2. 왼쪽 아래부터 1 달팽이로 들어감
*/
달팽이 문제로 풀면 된다 dfs도 그렇고 달팽이도 그렇고 배열에 값을 넣으면서 돌리면 되는데 그 방법이 잘 안 떠오른다 앞으로는 안 잊어버려야지
코드
package com.ssafy.boj;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4_10157_자리배정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seat = new int[C+1][R+1];
int K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K>C*R) {
System.out.println(0);
System.exit(0);
}
int[] dx = {0, 1, 0, -1};
int[] dy = {1, 0, -1, 0};
int num = 1;
int x = 1;
int y = 0;
int i = 0;
while(true) {
x += dx[i];
y += dy[i];
if(x<1 || x>C || y<1 || y>R || seat[x][y] != 0) {
x -= dx[i];
y -= dy[i];
i++;
if(i==4) i=0;
continue;
}
seat[x][y] = num;
if(K == num) break;
num++;
}
System.out.println(x + " " + y);
}
}
결과
#자바 #java #boj #백준 #알고리즘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boj][s2] 7562. 나이트의 이동 (0) | 2022.03.02 |
---|---|
[java][boj][s5] 10431. 줄세우기 (0) | 2022.02.28 |
[java][boj][s1] 2527. 직사각형 (0) | 2022.02.28 |
[java][boj][g4] 2116. 주사위 쌓기 (0) | 2022.02.26 |
[java][boj][s2] 2304. 창고 다각형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