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세계는 균형이 잘 잡혀있어야 한다. 양과 음, 빛과 어둠 그리고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처럼 말이다.
정민이의 임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괄호들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는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다.
문자열에 포함되는 괄호는 소괄호("()") 와 대괄호("[]")로 2종류이고, 문자열이 균형을 이루는 조건은 아래와 같다.
- 모든 왼쪽 소괄호("(")는 오른쪽 소괄호(")")와만 짝을 이뤄야 한다.
- 모든 왼쪽 대괄호("[")는 오른쪽 대괄호("]")와만 짝을 이뤄야 한다.
- 모든 오른쪽 괄호들은 자신과 짝을 이룰 수 있는 왼쪽 괄호가 존재한다.
- 모든 괄호들의 짝은 1:1 매칭만 가능하다. 즉, 괄호 하나가 둘 이상의 괄호와 짝지어지지 않는다.
- 짝을 이루는 두 괄호가 있을 때, 그 사이에 있는 문자열도 균형이 잡혀야 한다.
정민이를 도와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균형잡힌 문자열인지 아닌지를 판단해보자.
입력
하나 또는 여러줄에 걸쳐서 문자열이 주어진다. 각 문자열은 영문 알파벳, 공백, 소괄호("( )") 대괄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글자보다 작거나 같다.
입력의 종료조건으로 맨 마지막에 점 하나(".")가 들어온다.
출력
각 줄마다 해당 문자열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면 "yes"를, 아니면 "no"를 출력한다.
풀이
/*
* 1. 한줄씩 문장이 들어옴
* 2. . 같은 것도 균형잡힌 문자열
* 3. . 찍으면 종료
*
* >> 괄호 포함되면 스택에 쌓음 ( [ 면 쌓고 ) ] 면 지움
* >> )나 ]가 나오면 peek 보고 (나 [일 때만 지움 아니면 no 출력
* >> 스택 벗어나면 no 출력
* >> 마지막에 스택 empty면 yes 출력
*/
처음에는 stack을 두개로 받아서 했다가 그런 식으로 하면 ([)] 따위의 입력을 받았을때 틀려서 하나로 받았다. 대신 case를 네 번으로 나눠서 썼다. 마찬가지로 try-catch로 예외처리를 하지 않고 if를 쓰는 게 더 깔끔할 것 같다.
코드
package silver4;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EmptyStackException;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lv18_4949_균형잡힌세상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outer: while(true) {
String str = br.readLine();
if(str.equals(".")) break; //str이 .면 멈추기
Stack<String> stack = new Stack<>();
for(int i = 0; i<str.length(); i++) {
char c = str.charAt(i); //한글자씩 읽기
switch(c) {
case '(': // ( 일때 쌓기
stack.push("(");
break;
case ')':
try {
if(stack.peek().equals("(")) stack.pop(); //가장 위에 있는 게 ( 일 때 ) 만나서 삭제
else {System.out.println("no"); continue outer;} //아니면 no 출력
} catch(EmptyStackException e) {
System.out.println("no"); //stack 벗어나면 no 출력
continue outer;
}
break;
case '[':
stack.push("[");
break;
case ']':
try {
if(stack.peek().equals("[")) stack.pop();
else {System.out.println("no"); continue outer;}
} catch(EmptyStackException e) {
System.out.println("no");
continue outer;
}
break;
}
}
if(stack.empty()==true) { System.out.println("yes");} // 스택 비어있으면 yes
else { System.out.println("no");} // 남아있으면 no
}
}
}
결과
728x90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boj][b2] 2309. 일곱 난쟁이 (0) | 2022.02.09 |
---|---|
[java][boj][s3] 1874. 스택 수열 (0) | 2022.02.06 |
[java][boj][s4] 9012. 괄호 (0) | 2022.02.06 |
[java][boj][s4] 10773. 제로 (0) | 2022.02.06 |
[java][boj][s4] 10828. 스택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