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BOJ][G4] 2573. 빙산
728x90
 

2573번: 빙산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www.acmicpc.net

문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빙산이 녹고 있다. 빙산을 그림 1과 같이 2차원 배열에 표시한다고 하자. 빙산의 각 부분별 높이 정보는 배열의 각 칸에 양의 정수로 저장된다. 빙산 이외의 바다에 해당되는 칸에는 0이 저장된다. 그림 1에서 빈칸은 모두 0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2 4 5 3    
  3   2 5 2  
  7 6 2 4    
             

그림 1. 행의 개수가 5이고 열의 개수가 7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 빙산의 높이 정보

빙산의 높이는 바닷물에 많이 접해있는 부분에서 더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배열에서 빙산의 각 부분에 해당되는 칸에 있는 높이는 일년마다 그 칸에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붙어있는 0이 저장된 칸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단, 각 칸에 저장된 높이는 0보다 더 줄어들지 않는다. 바닷물은 호수처럼 빙산에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 1의 빙산은 일년후에 그림 2와 같이 변형된다.

그림 3은 그림 1의 빙산이 2년 후에 변한 모습을 보여준다. 2차원 배열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붙어있는 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그림 2의 빙산은 한 덩어리이지만, 그림 3의 빙산은 세 덩어리로 분리되어 있다.

             
    2 4 1    
  1   1 5    
  5 4 1 2    
             

그림 2

             
      3      
        4    
  3 2        
             

그림 3

한 덩어리의 빙산이 주어질 때, 이 빙산이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그림 1의 빙산에 대해서는 2가 답이다. 만일 전부 다 녹을 때까지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0을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나타내는 M개의 정수가 한 개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칸에 들어가는 값은 0 이상 10 이하이다. 배열에서 빙산이 차지하는 칸의 개수, 즉, 1 이상의 정수가 들어가는 칸의 개수는 10,000 개 이하이다. 배열의 첫 번째 행과 열, 마지막 행과 열에는 항상 0으로 채워진다.

출력

첫 줄에 빙산이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출력한다. 만일 빙산이 다 녹을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풀이

/*
 * 입력
 * 1. 행 N 열 M
 * 2. 빙산이 차지하는 칸의 개수는 10000 이하
 * 3. 제일 바깥쪽은 무조건 0
 * 출력
 * 1. 빙산이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
 * 2. 다 녹을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면 0 출력
 * 조건
 * 1. 동서남북에 있는 0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 2.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면 끝
 */

얼음이 녹는 경우는 for문과 사방탐색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얼음이 동시에 녹는다는 것이다 배열에 실시간으로 값을 적용하면 답이 틀리기 때문에 tmp 배열을 하나 더 만들어서 복사해 줬다

빙산의 개수는 dfs로 구해 줬는데, 개수를 구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dfs로 두 번 들어가면 바로 출력해 줬다

코드

package 구현;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g4_2573_빙산 {
	static int N, M, arr[][], tm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dx = {-1, 1, 0, 0};
	static int[] dy = {0, 0, -1,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int[N][M];
		tmp = new int[N][M];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M; j++) {
				arr[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int year = 0;
		
		while(true) {
			// 빙산이 이미 존재하는지
			boolean iceberg = false;
			// 방문 배열은 해가 지날 때마다 초기화
			visited = new boolean[N][M];
			
			for (int i = 1; i < N-1; i++) {
				for (int j = 1; j < M-1; j++) {
					// 빙산이 있고, 방문한 적이 없을 때
					if(arr[i][j]!=0 && !visited[i][j]) {
						// 빙산이 이미 존재한다면(2개 이상) 최초의 시간 출력
						if(iceberg) {
							System.out.println(year);
							System.exit(0);
						}
						// 빙산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방문 처리 후 이어진 빙산 계산
						visited[i][j] = true;
						iceberg = true;
						countIceberg(i, j);
					}
				}
			}
			
			// 일 년이 지났을 때
			year++;
			// 배열 복사
			clone(tmp, arr);
			// 빙산의 개수
			int count = 0;
			
			for (int i = 1; i < N-1; i++) {
				for (int j = 1; j < M-1; j++) {
					// 빙산 녹이기
					if(arr[i][j]!=0) {
						melt(i, j);
						count++;
					}
				}
			}
			
			// 빙산이 하나도 없으면 0 출력
			if(count==0) {
				System.out.println(0);
				System.exit(0);
			}
			
			// 남은 빙산이 있다면 다시 배열 복사
			clone(arr, tmp);

		}

	}

	private static void clone(int[][] a, int[][] b) {
		for (int i = 1; i < N-1; i++) {
			for (int j = 1; j < M-1; j++) {
				a[i][j] = b[i][j];
			}
		}
	}

	private static void melt(int i, int j) {
		for(int k = 0; k<4; k++) {
			int x = i+dx[k];
			int y = j+dy[k];
			if(arr[x][y]==0) tmp[i][j]--;
		}
		
		if(tmp[i][j]<0) tmp[i][j]=0;
	}

	private static void countIceberg(int i, int j) {
		for(int k = 0; k<4; k++) {
			int x = i+dx[k];
			int y = j+dy[k];
			if(arr[x][y]==0 || visited[x][y]) continue;
			visited[x][y] = true;
			countIceberg(x, y);
		}
		
	}
	
}

결과

 

#자바 #java #boj #백준 #알고리즘

728x90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BOJ][S1] 11403. 경로 찾기  (0) 2022.04.22
[JAVA][BOJ][G3] 1670. 정상 회담 2  (0) 2022.04.21
[JAVA][BOJ][G4] 10422. 괄호  (0) 2022.04.19
[JAVA][BOJ][G4] 15685. 드래곤 커브  (0) 2022.04.18
[JAVA][BOJ][S4] 13699. 점화식  (0) 2022.04.16